주행로봇(AMR)과 서빙로봇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st 댓글 0건 조회 373회 작성일 25-01-02 11:27본문
2023년에는 자율주행로봇(AMR)과 서빙로봇을, 지난해는 바퀴로 움직이는 이동형양팔로봇을 선보였다.
레인보우로보틱스 이동형양팔로봇'RB-Y1' (사진=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과 수준 높은 한국형 서비스를 갖추면서도 중국산 정도로 저렴한 로봇을 선보이자는 ‘WKC’.
또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출시한 이동형양팔로봇'RB-Y1'이 전사적 차원에서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라인, 가전 공장 등에 활용될 수도 있다.
일부 테스트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양팔로봇은 상반신 형태를 갖춘 신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여러 생산공정에서 사람의 역할을 대신해 활용될 수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삼성전자의 제조 및 물류 분야에 도입해 업무 자동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삼성전자가 이전에 공개한 AI 반려로봇 ‘볼리’와 보행 보조 로봇 ‘봇핏’의 후속 제품 개발에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기술이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맥락에서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 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한다.
이와 동시에 삼성전자 글로벌 영업 인프라를 발판으로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해외 시장 진출도 모색한다.
*보스턴다이내믹스의 휴머노이드 '아틀라스' ◇현대차·테슬라·등과.
스틱 등양팔에 보조기구 없이 휴대용 조이스틱을 통해로봇컨트롤이 가능하다.
다리당 6개씩 총 12개 전동 관절로 자연스러운 걸음걸이가 가능하도록 했다.
아울러 고도화된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자율형 기기로 고안해, 착용자 스스로 전후좌우 자유자재로 하체를 움직일 수 있도록 보조한다.
우선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 로봇,양팔 로봇, 자율 이동 로봇 등을 삼성전자의 제조, 물류 사업장 등에 투입해 업무 자동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영업 인프라를 활용해 해외시장에 적극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오준호 카이스트.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 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LG도 대대적 투자… 한화도 로봇 신사업 육성= LG전자는 2017년부터 로보티즈, 로보스타, 엔젤로보틱스 등에 투자해왔으며 로보스타는 최대주주, 로보티즈와.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 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들 로봇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별 데이터, 환경적 변수 등을 AI 알고리즘으로 학습하고 분석해 작업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지난 10월 일본 완성차 업체 토요타에 이동형양팔 로봇인 'RB-Y1'을 납품하기로 했다.
RB-Y1은 바퀴가 달린 하부에 양팔을 갖춘 휴머노이드 형태 로봇이다.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두 팔로 주어진 작업을 할 수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또 최근 외과용 의료기기 제조 전문기업 이롭과 협력해 차세대 의료용 로봇.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자사 로보틱스랩과 계열사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양날개'를 앞세워 로봇 판을 키우고 있다.
로보틱스랩은 지난 2018년 산업용 착용 로봇 연구에 착수했다.